top of page
chapter7. 어둠의 깊이 마음의 깊이
64.Tiny wood - 112.1X162_edited.jpg
삶의 빈자리

김진엽(미술비평)

1.

김춘재의 풍경은 어둡다. 그렇지만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도록 한다’는 클레의 말처럼, 김춘재는 풍경보다는 풍경 속에 감추어져 있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주고자 한다. 어둠을 통해 풍경을 강조하는 것도 있지만 풍경을 삼킬듯한 아득한 어둠은 모든 이야기를 중단시킨다. 그러한 침묵은 감각이나 사색적 명상, 성찰로서는 파악할 수 없다. 어둠이 만들어 낸 풍경은 실존적 자의식으로만 파악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풍경은 현실을 초월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본질적으로 직관함으로써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2.

동양화과 출신인 김춘재는 현재 페인팅 작업을 하면서도 여전히 동양화의 작업을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화면은 전통적인 동양화의 구도를 보여주는데 다른 점은 여백을 어둠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업 초창기 김춘재는 도시 풍경을 주로 표현하면서 삶의 정체성과 혼란을 겪고 있는 시대의 자화상을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예술의 역할과 예술가란 직업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을 했던 것 같다. 따라서 초창기의 일그러진 자취를 남기는 도시 풍경들은 바로 그러한 고뇌의 소산이었다.

몇 년 전부터 현재의 풍경 작업에 몰두하면서 김춘재는 예술과 예술가란 직업에 대한 긍정을 느끼기 시작했으며, 치열한 작업을 통해 현재의 작업에 이르렀다. 회의와 고통의 시간을 극복하면서 만들어진 풍경 작업은 그래서인지 짙은 정감과 깊은 호소력으로 다가온다.

 

3.

김춘재가 전통적인 동양화를 서양화의 방식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배경인데, 특히 검은색의 여백이다. 이러한 검은 색의 배경은 동양화의 여백이 가진 공(空)의 발현태를 넘어서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검은 여백은 모든 사유의 과정이 정밀하게 집약되어 있다는 점에서 무척이나 견고하다.

어두운 배경은 단순히 풍경을 강조하거나 풍경을 삼키려고 하지 않는다. ‘내 속에 담긴 허공’처럼 풍경과 어둠은 하나의 몸 같은 것이다. 고통과 절망의 원인은 존재의 불확실성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삶의 과정에서 자기 존재를 찾기 위해서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기존의 시각과 다른 전도된 시각을 통해 김춘재는 참된 풍경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통적인 동양화가 원경을 중심으로 시점의 변화가 나타난다면 서양화의 화법은 근경의 시점에서 변화를 지속한다. 김춘재의 작업은 이러한 동서양화의 변이 과정을 다인칭 시점으로 변화시킨다. 어둠의 여백, 외형적 원경과 내면적 근경을 조화시키는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조형적 어법을 확장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사실상 인식의 연쇄 고리를 통해 예술적 깊이와 소통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작업 방식의 특징은 자신의 존재 부정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극한으로 자신의 자아와 작업을 몰아가는 것으로, 그 작업의 끝에 새로운 세계가 등장하고 그 세계를 구성하는 새로운 지평이 드러난다. 허무와 고통을 딛고 극한의 경지에서 비로소 ‘공’(空)의 진정한 모습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래서 김춘재의 작업은 무겁고 닫힌 공간이 아니라 생동감 있는 열린 공간이다.

 

4.

김춘재의 작업은 ‘실재’와 ‘상징’이라는 대척점을 능숙하게 조화시키고 있다. 사회체계에서 부정적인 상징과 긍정이라는 현실의 실재를 같은 지평에 융합함으로써, 작가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조형세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융합은 관념이나 개념이 아닌 자연의 영역에서 나타난다.

작가는 자신의 감각을 자연으로 향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을 대립이 아닌 ‘함께-있음’(mit-sein)으로 이해하고, 세계라는 실존적인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을 세계에 ‘함께-거주하는’(mit-leben) 존재로 만들었다. 강과 숲으로 구성된 화면은 각각의 가치를 가진 존재자들이 아니라, 현실과 내면을 함께 표현하는 그럼으로써 일상의 삶의 부조화를 채워줄 수 있는 함께하는 존재자들인 것이다. 그저 바라보는 감상의 대상이나, 정복의 대상으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인간과 함께 거주하는 강과 산, 나무들은 우리들의 비워진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요소들로 작용한다.

궁극적으로 김춘재는 삶에 관해 이야기한다. 어두운 배경은 화면에 대한 몰입이나 자아의 내적 질서와 균형을 위한 것은 아니다. 단순히 자아의 성찰로서 어둠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처해있는 현실 삶에 대한 진정한 현실 인식을 수반함으로써 어둠이 나타나는 것이다.

존재의 본질이 스스로 드러나기 위해서는 은폐된 상태에서 벗어나 스스로 발현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은폐는 장애가 아니라 인간 실존의 조건이다. 일상에서 익숙한 삶의 방식이 바로 은폐이다. 그러나 진정한 존재의 의미, 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새로운 삶에 대한 의지는 은폐를 벗어나야 한다. 그래서 김춘재의 풍경은 어둠을 통해 익숙한 삶의 방식을 벗어난 상태이고, 어둠 자체를 통해 우리 삶의 참모습이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김춘재의 풍경은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풍경이 아니다.

 

5.

작가는 풍경이 어떤 특정한 장소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그렇다고 관념이나 상상 속의 풍경도 아니다. 현실의 풍경이지만 우리가 그 풍경을 볼 수 있는 순간은 길고 긴 여정을 거쳐야 한다. 즉 우리가 세상을 새롭게 조망하고 현실을 다시 바라보아야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여기에는 직선의 시간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 미래가 함께하는 시간이 흐른다. 그래서 자세히 김춘재의 화면을 보면 낯설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그 풍경은 우리와 함께하는 풍경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김춘재의 풍경은 현실이 자연을 통해 내면화된 삶의 풍경이다. 이러한 내면화는 자연 대상과 삶의 현실에 대한 정서적 인식이 주체의 관점에서 수용하여 재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여기서 나타나는 자연풍경은 쓸쓸한 상념에 휩싸인 것이 아니라 현실을 직시하는 감성을 통해 축적되고 내면화된 풍경이다. 관조와 욕망의 정화를 통해 예술적 정서와 자연 본연의 모습을 조화시키는 것이다.

 

현실을 직시하며 우리의 사유의 근본을 철저하게 깨닫고, 나와 자연의 연결점을 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로 김춘재의 작업이다. 개인적 정서를 머무르게 하지 않고 자연 속으로 채색시킴으로써 우리의 삶을 정화하고 정감어린 자연의 세계로 다가서게 하는 것, 이러한 김춘재의 작업이 바로 우리 삶의 빈자리를 조용히 채워주는 예술인 것이다.

 

The Blank Space in Life

Kim Jin-yeop (Art Critic)

 

1.

Landscapes in Kim Choonjae's works are dark. However, as Paul Klee said “Art does not reproduce the visible, rather, it makes visible,” Kim Choonjae wishes to show us what is hidden in the landscape rather than the landscape itself. While the darkness emphasizes the landscape, the distant darkness that seems to engulf the landscape ceases all stories. Such silence cannot be recognized by the senses, contemplative meditation, or introspection. The landscape created by the darkness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existential self-consciousness because the landscape is created by essentially intuiting reality rather than transcending it.

 

2.

Kim Choonjae, who majored in Oriental Painting, says that he still works on oriental paintings. Perhaps, this is why his canvas shows the composition of a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while the blank space is expressed in darkness, leading to a difference from the oriental painting.

In the early days of his work, he mainly worked on urban landscapes and tried to capture self-portraits of the time when he was experiencing the identity crisis and confusion in his life. At the same time, he thought more deeply about the role of art and the job as an artist. The urban landscapes that leave distorted traces of his early days are the result of such agony.

As Kim Choonjae started focusing on his current landscape works a few years ago, he began to feel positive about art and the profession as an artist. He reached his current works through intense efforts. This might be why the landscape pieces created while he was overcoming times of skepticism and pain come across as deeply emotional and appealing.

 

3.

The common characteristic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him transferring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to Western paintings is the background, especially the black blank space. This black background goes beyond the expression of emptiness in the blank spaces of the oriental paintings. Additionally, these black blank spaces are very solid in the sense that all thought processes are precisely concentrated.

The dark background does not just simply emphasize the landscape or try to engulf it. Like the “empty space within myself,” the landscape and darkness are like one single body. Since the cause of pain and despair lies in the uncertainty of existence, “contrary thinking” is necessary to find one’s existence in the process of life. Kim Choonjae shows the true landscape through a reversed perspecti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While the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show changes in perspectives based on the landscape in the distance, Western paintings continue to change in the near landscape. Kim Choonjae’s works transform this process of transi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into a multi-person perspective. The process of harmonizing the blank space of darkness, the external distant landscape, and the internal near landscape simply means the expansion of the formative language, but in fact, it expands the artistic depth and breadth of communication through a chain of recognition as well.

The characteristic of this method is that it begins with the denial of one's own existence, which is pushing oneself and work to the limit, and a new world appears and new horizons that make up that world are revealed at the end of the work. Only when one overcomes futility and pain and reaches the extreme level, the true form of ‘emptiness’ reveals. Therefore, Kim Choonjae's work is not a heavy, closed space, but a lively open space.

 

4.

Kim Choonjae’s works skillfully harmonize the opposites of “reality” and “symbol.” The artist builds a new formative world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by combining negative symbols and positive aspects of the existence of reality from the social system into the same horizon. However, such amalgamation occurs in the realm of nature, not in ideas or concepts.

The author understands humans and nature as “beings together (mit-sein)” rather than beings in opposition by directing his senses toward nature, and he created humans and nature as “co-inhabitants (mit-leben)” of the world made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the world. The screen composed of rivers and forests is not entities with separate values, but the ones that express reality and inner life together, thereby filling the disharmony of daily lif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nature as an object of appreciation or conquest, he utilizes the rivers, mountains, and trees that humans live with as elements that can fill the empty spaces of us.

Ultimately, Kim Choonjae talks about life. The dark background is not just for immersion in the canvas or the inner order and balance of the self.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darkness as a reflection of the self, the artist represents darkness by accompanying a true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real life we ​​live in.

In order for the essence of existence to reveal itself, it must escape from its concealed state and manifest itself. However, this concealment is not an obstacle but rather a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A familiar way of life in everyday life is concealment. However, the true meaning of existence and the will for a new life through the harmony with nature must escape concealment. Therefore, Kim Choonjae's landscape is a state that we escape the familiar way of life through darkness, and the true nature of our lives is revealed through the darkness itself. Threfore, his landscapes are not simply the ones passing by.

 

5.

The artist says that the landscape does not refer to any specific place. However, it is not a landscape of ideas or imagination. It is the landscape from reality, but we must go through a long, long journey to reach the moment we can see that landscape. In other words, it is the landscape that can be only seen when we take a new look at the world and view reality again. Here, time flows wit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ather than flowing like a straight line. Thus, if you look closely at his canvas, you can notice that it is unfamiliar. However, as a certain amount of time passes, we realize that the landscape is the one that stays with us.

 

Kim Choonjae's landscape is the one of life in which reality is internalized through nature. This internalization refers to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natural objects and the reality of life, which is accepted and reconstructed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Therefore, the natural landscape that appears here is not the one engulfed in lonely thoughts, but the one accumulated and internalized through the sensibility of confronting reality. It harmonizes artistic emotions and the natural appearance of nature through contemplation and purification of desires.

 

Kim Choonjae’s works are about facing reality, thoroughly realizing the fundamentals of our thoughts, and poetically expressing the connection between me and nature. His works purify our lives and bring us closer to the emotional world of nature by not letting personal emotions linger and coloring them into nature. These works of Kim Choonjae are the art that quietly fills the empty spaces in our lives.

 

Note - 2022.02.
Tiny wood - 116.8X91cm oil on canvas 2022.jpg

 어느 날 문득 눈에 들어오는 풍경은 단순한 풍경이 아니다. 남들과 똑같이 보는 풍경이지만 그것이 나에게 무언가로 다가왔다는 것은 거꾸로 내가 그 풍경에 어떤 감정을 이입했다는 것이다. 물리적 거리가 존재하는 대상으로서의 풍경은 ‘타자’이지만, 감정이 이입됨으로써 관계가 이어지고 그것은 ‘내’가 된다.
기쁜 마음을 갖고 있으면 풍경이 기쁜 마음을 내재하게 되고, 슬픈 마음을 갖고 있으면 풍경 역시 슬픈 마음을 내재하게 된다. 그리고 나는 풍경 속에 녹아있는 나의 마음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 풍경을 통해 내 감정을 한발자국 떨어져 보게 되고, 나는 마음과 분리되어 감정을 대상화시키게 된다.
풍경을 바라본다는 것은 대상화된 나의 마음을 본다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 ‘관조(觀照)’라고 부른다.

Chapter6. Tiny wood
tiny wood - 60.6X90.9cm oil on canvas 2021.jpg
“안녕하세요 김춘재작가님, 오랜만이에요.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네 안녕하세요, 그냥그냥 살아요.ㅎㅎ”

 

작가가 되기로 마음을 먹은 이후 평범하게 살기는 틀렸다고 생각했다. 어떻게 살아야할지 고민했고, 살아야하는 세계를 그렸다. 하지만 그림은 나에게 어떤 답도 해주지 않았다. 나의 마음은 여전히 불안했고, 어느 날 깊은 우울을 맞이했다.

끝없는 어둠 속에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병원에 가서 약을 먹기 시작했고 심리 상담을 받았다. 그리고 다행히 많이 나아졌다.

 

어느 날 심리상담센터에서 연락이 왔다. 비슷한 고통을 안고 있는 20살의 어린 여성이 미술 쪽 진로에 관심이 있으니 혹시 조언이나 이야기들을 해줄 수 있냐고 물어왔다. 작은 도움이나마 주고 싶어서 흔쾌히 승낙했다. 이런 저런 고민을 이야기하고 서로의 우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동안, 나는 마치 거울을 보는 것 같았다. 내가 이야기를 들어주고 내 생각을 말해주고 있지만 사실 그것은 내가 나에게 해주고픈, 누군가로부터 내가 듣고 싶었던 이야기들이었다. 아닌 척, 괜찮은 척 하고 있지만, 사실 나는 아직 우울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던 것이다.

 

작업실이 있는 동네는 꽤 낙후된 곳이다. 재개발 허가는 났으나 많은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어서 개발까지 굉장히 오래 걸리거나 무산될 수도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좁은 골목이 많고 갈라진 틈이 많다. 그 갈라진 틈에는 어김없이 작은 잡풀들과 꽃이 있다. 워낙 구석진 모서리에 있다 보니 각종 쓰레기와 담배꽁초, 구토흔적까지 남아있지만 그래도 꽃은 피었고 풀들은 자라난다. 환경이 지저분하고 열악해도 그들은 피어나고 열심히 자란다.

 

나는 우울에 힘들어하는 그녀를 보며, 그리고 나 자신을 돌아보며 말하고 싶었다. 주변 환경이야 어쨌든, 자신이 바라던 그런 현실과 환경이 아니어도 당신은 소중한 꽃이며, 꿈꾸던 아름다운 삶이 아니더라도 삶은 삶 자체로 충분하고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이미 훌륭한 삶이라고. 하루하루 그냥그냥 살아도 된다고. 과거의 과오에 얽메이지 말고, 미래의 불안에 흔들리지 말고, 그냥 지금을 열심히 사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그림 에세이>산수화 백미는 여백이거늘.. 개발에 찢긴 아픔

이재언 (미술평론가·인천 아트플랫폼 관장)
a garden, 97x145cm, oil on canvas, 2013

발걸음도 가볍게 뒷산을 오르다 깃발들이 여기저기 꽂혀 있는 것을 봤다. 왠지 예감이 좋지 않다. 불길한 예감은 대체로 비켜 가는 법이 없더니만, 얼마 후 공룡 같은 토건 장비들이 속속 들어와 포진하기 시작했다. 그다음은 불을 보듯 뻔하다. 여기저기 버짐처럼 잠식돼 아우라가 사라진 숲, 그마저도 순식간에 사라지고 말 것이다.

 김춘재가 다시 산수화를 그리게 된 배경이다. 이제는 신선이나 정령이 사는 심산유곡도 아니며, 재료 또한 수묵이 아니다. 전통적 산수화의 패턴은 찾아보기 어렵다. 산수화의 백미는 역시 여백인데, 여운 따위와는 거리가 먼 인공물이 소거된 자리를 여백이라 불러야 할까. 자연은 유구하지만, 인공의 흔적은 그렇게 지워져야 마땅한 것일지도 모른다.

 화면 속 숲, 그것도 실은 인공적으로 가꿔진 것일지도 모른다. 내밀하고 신성한 이야기가 서식할 수 없는 산수, 신비가 사라진 산수를 대하는 작가의 시선은 기대하기 어렵다. 관념적으로 봐도 그렇고, 실경으로 봐도 그렇다. 전통 산수화와는 다른, 조금은 비판적이고 삐딱한 산수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https://news.v.daum.net/v/20190709120041777

풍경, 욕망의 도가니와 밤의 알레고리 속으로

 

                                                                                                       고충환(미술비평)
어두운 길3.jpg

도시풍경. 대학을 졸업할 즈음에 작가는 보통사람처럼 살기는 글렀다고 생각했다. 작가로 살기로 했다. 그렇게 작심하고 나니 세상이 다르게 보였다. 도시가 욕망의 아이콘처럼 보였다. 욕망을 놓으니 욕망이 보였다. 욕망은 허구다. 그래서 신기루 같은 풍경을 그렸다. 애매한, 지워진, 흐릿한, 공허한 풍경을 그렸다. 욕망은 결여다. 그 결여를 증언이라도 하듯 덧칠된 욕망을 걷어낸 풍경이다. 풍경의 맨살이다. 그렇게 각성된 풍경을 그렸고, 신기루 같은 풍경을 그렸고, 맨살의 풍경을 그렸다.

 

사건풍경. 그리고 2011년 일본 대지진이 터졌다. 혹자는 자연재해라고 했고 어떤 이는 인재라고 했다. 여기서 작가는 인간의 무분별한 욕망과 현실원칙이, 자연개발과 자연의 복수가, 이상향의 풍경과 현실풍경이 충돌하는 순간을 본다. 그리고 그렇게 지진과 추락, 전복과 재해현장을 그렸다. 폐차장을 그리고 도시의 외곽에 핀 꽃을 그렸다. 열섬현상을 그리고 DMZ를 그렸다. 빼곡한 건물에 둘러싸여 열이 빠져나가지 못한 채 정체되는 걸 열섬현상이라고 한다. 그렇게 작가는 벌겋게 달아오른 도시를 그렸고, 물이 오른 욕망의 도시를 그렸고, 언제 터질지 모를 불안한 도시를 그렸다. 그리고 군사훈련을 아예 DMZ 안에 들여놓아 긴장상황이며 대치국면을 강조한다. 불안을 생산하는 도시며 불안을 조장하는 정치적 현실을 극화해 보여준다.

 

인공풍경. 플라톤의 동굴우화에 보면 동굴 밖으로 한 번도 나가본 적이 없는 사람이 등장한다. 그는 동굴 안이 세상의 전부라고 생각하고, 동굴 벽에 어른거리는 그림자가 실재라고 믿는다. 그러나 그가 실재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 그림자는 사실은 동굴 밖에 있는 나무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 동굴 안에 있는 사람은 그림자를 실재라고 착각하고, 동굴 밖에 있는 사람만이 실재와 그림자의 차이를 안다(그런데 감각적 현실을 사는 사람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혈거인들이다). 인식론적 문제를 건드린 것이지만, 여기서 작가는 결국 사람들의 생각이 세상을 만든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자기착각에 빠진 사람들의 무분별한 욕망이 세상을 만들고 축조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사회 정치 경제 역사가 모두 그렇게 서고 번성하고 사라진다. 그리고 그렇게 작가는 착각의 편린들이, 욕망의 파편들이 우연하고 무분별하게 축조된 세상을 그리고 인공풍경을 그린다.

 

신강산무진도. 그리고 작가는 조선후기 화가 이인문이 그린 강산무진도를 재해석한 그림을 그린다. 원본대로라면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삶을 노래한 그림이지만, 작가는 인간과 자연의 부조화로, 인간의 무분별한 욕망으로 마구 파헤쳐진 살풍경으로 이를 대체해 그린다. 실제로는 송도국제도시의 개발현장을 소재로 한 것이지만, 이런 살풍경으로 치자면 도처에 있는 일상적 풍경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이런 일상적인 살풍경을 통해 뭘 말하고 싶은 것인가. 알다시피 경제제일원칙과 효율성 극대화의 법칙이 자본주의의 모토다. 그 원칙이며 법칙에 어긋나는 것은 도태된다(다윈주의의 자본주의 버전?). 이런 자본주의 물신의 지상명령 앞에 자연은 한갓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 스스로 존재할 이유(그 자체가 목적인)가 상실되고 왜곡되고 박탈된 것이다. 이런 무분별한 욕망이, 이미 일상이 돼버린 재개발과 재건축 현장이, 천민자본주의와 도구화된 자연이 엄연한 현실임을 인정한다면, 작가가 대체해 그린 살풍경이야말로 현실을 반영한, 시대정신 혹은 시대감정을 반영한 또 다른 진경산수로 보아야 한다. 그 자체 진경산수의 현대판 버전으로 봐야 하고, 작가의 원전에 대한 재해석(재생)도 이런 의미로, 이를테면 현실에 대한 역설적 표현이며 재현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작가의 이 그림은 길다. 전통적인 두루마리 그림처럼, 아니면 현대적으론 파노라마 사진처럼 옆으로 길게 펼쳐진 풍경이다. 이처럼 옆으로 긴 그림은 단순한 시각정보로서보다는 텍스트처럼 책처럼 읽히는 독해과정을 작가가 염두에 두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 말해준다. 그래서 자연스레 서사가 강한, 메시지가 강한 그림임을 알 수가 있겠다. 그 내용으로는 무분별한 난개발현장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무분별한 난개발은 사실은 무분별한 인간의 욕망에 해당한다. 옆으로 긴 그림은 결국 무분별한 난개발이 덧붙여진 것이며, 무분별한 인간의 욕망이 확대재생산된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살풍경은 밑도 끝도 없이 연이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작가의 이 그림은 그 자체 완결된 결정판이 아니라, 인간의 무분별한 욕망이 끝이 없는 것처럼 끝이 없을 것이다. 이처럼 끝이 없는 그림이 친근하고 낯설다. 무분별한 난개발이 어느새 일상이 돼버린 탓에 친근하고, 그럼에도 난개발이 친근한 풍경을 낯선 풍경으로 바꿔놓고 있어서 낯설다. 그렇게 난개발 현장에는 살풍경과는 어울리지 않게(차라리 엉뚱하게) 광대가 등장하고 무희가 등장하고 로보캅이 등장한다. 초현실인가? 비현실인가? 아마도 불합리한 풍경이며 미증유의 풍경을 현실로 인정해야 하는 것에서 오는 당혹감을 표상할 것이다.

 

밤의 알레고리. 작가가 입주해있는 인천아트플랫폼 인근에는 공원이 있어서 작가도 곧잘 산책을 나가곤 한다. 그 공원에는 특이하게도 새와 토끼 얼룩말과 사슴 등 각종 동물조각을 조성해 인공 숲과 어우러지게 했는데, 작가는 근작에서 이 공원의 밤 풍경을 그렸다. 낮에 보면 아무렇지도 않지만, 작가의 그림에서처럼 밤에 현란한 원색조명이 비추는 인공불빛 아래에서 보면 낮에 볼 때와는 판이해진다. 인공불빛과 어둠 속에 감싸인 공원을 걷다보면 설핏설핏 드러나 보이는 동물조각들이 살아있는 동물들처럼 보인다. 그래서 실제로 밤에 공원을 산책하는 사람들이 깜짝깜짝 놀라는 일도 있다고 한다. 이 그림은 말하자면 그 이질감이며 생경한 경험이 주는 미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어떤 지점을 탐색한 경우로 볼 수가 있을 것이다. 현실의 일부인 비현실 혹은 초현실에 대한, 현실 자체가 이미 비현실 혹은 초현실인 현실에 대한 당혹스러움(오히려 자연스러움?)을 그린 것일 터이다. 현실과 비현실의 모호한 경계며 지워진 경계에 대한, 그 비식별역에 대한 감각적 논평을 수행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인천아트플랫폼에 입주하기 전에 화성에 소재한 한 외진 곳에 작업실이 있었다. 세상과 동떨어진 별세계에 와 있는 듯 외진 곳이었고, 칠흑 같은 밤과 어둠과 적막강산이 도처에서 현실감을 몰아내는, 그런 곳이었다. 작가는 주로 밤에 작업실을 찾곤 했는데, 근작에서 그 작업실 가는 길을 그렸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 가로등이 켜진, 그리고 이따금씩 달빛이 은근한, 마치 국부조명등이 켜진 무대세트와도 같은 길을 그렸다. 그 길의 주제는 불안이다. 길도 불안하고 밤도 불안하고 어둠도 불안하고 빛마저도 불안하다. 따뜻하고 안온하게 감싸는 우호적인 빛이 아니라, 뭔가 불안을 조성하는 심리적으로 불편한 빛이다. 그 빛이 비추는 길이, 심지어 빛 밖으로 벗어나면 보이지도 않는 길이 마치 불안을 상연하는 연극무대 같고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불안정한 삶의 알레고리 같다.

 그렇게 작가는 도시풍경을 그렸고, 사건풍경을 그렸고, 인공풍경을 그렸고, 살풍경을 그렸다. 친근하고 낯선(캐니와 언캐니가 하나의 층위로 포개져 있는) 이중적 풍경을 그렸고, 현실과 비현실이 어긋난 풍경을 그렸고, 자본주의의 판타지(환상산업)가 현실을 대체하는 소외된 풍경을 그렸고, 도무지 사람이 살만하지 않은 난풍경(디스토피아)을 그렸고, 불안정하고 어수선한 것이 꼭 삶의 메타포 같은 풍경을 그렸다. 그리고 어둠이 심연처럼 입을 벌리고 있는 불모의 풍경을 그렸다. 이 일련의 풍경들 중에서 근작에서의 밤 풍경이 작가의 그림에서 전기를 마련해줄 것 같다. 지금까지 자기외부를 향하던 작가의 시선이 마침내 내부를, 내면을, 심연을, 암흑을, 침묵을, 혼돈을, 어둠 속 우주를 정조준하기 시작했다고나 할까. 관조하던 그리기(인식론)에서 겪는 그리기(존재론)로 옮아갔다고나 할까.

Landscape, Into the Frenzy of Desire and Allegory of Night
-Choons Kim's Paintings-
KOH Chung-Hwan (Art Critic)

 

Urban Landscape. Around the point of university graduation, the artist gave up on the notion of living like a common man. He decided to live as an artist. Once he made up his mind, the world seemed different. The city looked like the icon of desire. As he let go of his desire, he was able to see desire. Desire is fictional. So he painted mirage-like landscapes. He painted ambiguous, erased, vague, and empty landscapes. To desire is to lack. As if to testify on that absence, the landscape has been shed of the multiple layers of desires. It is the naked landscape. He painted the disillusioned landscape, the mirage-like landscape, and the naked landscape.

 

Incident Landscape. And in 2011, Japan was hit with a great earthquake. Some said it was a natural disaster, some said it was man-made disaster. Here, the artist witnesses the moment of collision between humans’ reckless desire and the rules of reality, nature development and the revenge of nature, the landscape of utopia and that of reality. And so he painted earthquakes and crashes, scenes of capsize and calamity. He painted junkyards and flowers blooming in the suburbs. He painte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the DMZ.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of the city’s heat being blocked in due to the tall buildings. The artist painted the reddishly heated city, he painted the city delirious with desire, and he painted a precarious city that could explode in any moment. And he placed military trainings inside the DMZ to accentuate the state of tension and confrontation. He maximizes the image of the city that produces anxiety and the political reality that aggravates anxiety.

 

Appearance. He thinks that the cave is the entire world, and believes that the shadow on the wall is the reality. But the shadow that he believes as the real is in fact nothing more than the shadow of a tree outside the cave. The man inside the cave believes that the shadow is the real, and only a man outside the cave kn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the shadow (but the men living the sensuous reality, thus we are all cave men). It is an epistemic issue, but from here, the artist draws the conclusion that human thought creates the world. He concludes that the reckless desires of people wrapped up in their versions of delusion produce and construct the world. They build, prosper, and destroy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history. And the artist paints the artificial landscape and world constructed recklessly and by chance through the fragments of delusion and desire.

 

New Painting of Endless Mountains and Rivers. And the artist paints a reinterpretation of Painting of Endless Mountains and Rivers by Yi In-mun,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original had portrayed the harmonious life between human and nature, but the artist substitutes it with the bleak sight as disarrayed by human’s reckless desire. This piece was in fact based on the construction sites of the Songdo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but the dreary landscape could actually be witnessed anywhere. Then what is the artist trying to say through this everyday landscape of misery? Capitalism puts economy as its top priority, and maximizing efficiency is its motto. All that go contrary to this principle will be eliminated (capitalist version of Darwinism?). In front of this supreme order of capitalist fetish, nature is no more than a tool. The raison d’être of nature is lost, distorted and taken away. If we admit that such reckless desire, the redevelopment and construction sites that have already become a part of our everyday, pariah capitalism, and nature as a mere tool are all actual parts of the current reality, we should read the artist’s bleak landscapes as yet another real landscape reflecting the reality, zeitgeist, and the sentiment of the times. His landscape is by itself the modern version of accurate landscape, and in this sense, the artist’s reinterpretation (replay) of the original painting should be read as a representation and paradoxical expression of reality.

 

This painting by the artist is long. This piece is a wide landscape, just like a traditional scroll, or in modern terms, like a panoramic photo. Such wide painting speaks to us of the possibility that the artist had in mind the process of reading the piece as a text, rather than mere visual information. Thus, we know that it is a painting of strong narrative and message. In regards to the contents, the painting addresses a reckless construction site. Here, the reckless construction site in fact refers to the reckless desires of men. This wide painting is the product of adding reckless development, and is an expansion of reckless human desire. And as such, the bleak landscape will forever be prolonged. Thus, this painting by the artist is not complete. As human desire has no end, the painting will have no end. Reckless development is familiar because it has already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and even so, this feels alien because the landscape of familiar reckless construction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unfamiliar landscape. Elements that do not fit this bleak scene (rather senselessly) make appearance on the site of reckless development. A clown, a dancer, and RoboCop are on site. Is this surreal? Or non-real? This is probably an irrational landscape, and would represent the confusion of having to recognize as reality an unheard of landscape.

 

Allegory of Night. There is a park near the Incheon Art Platform, where the artist resides, and he often goes out for a walk. Inside the park, various animal sculptures such as bird, rabbit, zebra, and deer are placed in harmony with the artificial forest. In recent works, the artist painted the night landscape of this park. While seemingly common during the day, the park becomes completely different at night under the fancy lights of primary colors, as is portrayed in the artist’s paintings. Walking in the park illuminated by the artificial light of primary colors, the animal sculptures look as if they are real animals. In fact, there have been reports that people walking in the park at night were startled by the sculptures. This painting is, so to speak, an example of investigating an aesthetically significant point presented by the uncanny experience. The artist seems to have painted the confusion (or natural acceptance) of facing the surreal or non-real that is a part of our reality, or the reality that is already surreal or non-real. He is performing a sensuous comment on the ambiguous and erased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the non-real, the domain that cannot be discerned.

 

Before joining the Incheon Art Platform, the artist had a studio in a remote region of Hwaseong. It was so remote that if felt like being in a faraway cosmic world when there, and the pitch black nights and isolated scenery constantly chased away any sense of reality. The artist usually visited his studio at night, and painted the journey in his recent work. He painted a road on which the street lights shimmer under the pitch black darkness, on which the moonlight sometimes hints, a road that looks like a stage set illuminated with pin lights. The subject of that road is anxiety. The road is unstable, the night is unstable, the darkness is unstable, and even the light is unstable. It is not a warm or comforting light, but a psychologically uncomforting light that creates anxiety. The road illuminated by such light, the road on which we cannot see anything once we step outside the light, seems to be an allegory of the unstable life in which we cannot see ahead, like the stage of a play that screens anxiety.

 

The artist painted the urban landscape, the incident landscape, the artificial landscape, and the bleak landscape. He painted a double landscape of the familiar and the unfamiliar (where the canny and the uncanny overlap as one layer), he painted a landscape where reality and the non-real cross one another, he painted an isolated landscape where the fantasy (industry) of capitalism substitutes reality, he painted a dystopia unsuitable for human residence, and he painted a landscape that seems to be a metaphor of life with its unstable disarray. And he painted a barren landscape where darkness gapes into abyss. Among this series of landscapes, the night landscape of his recent work seems to be able to serve as a turning point for the artist. The artist’s perspective that has been directed toward the outside finally started to focus on the inside, the abyss, the darkness, the silence, the confusion, and cosmos inside the darkness. He has shifted from meditative painting (epistemology) to experiencing painting (ontology).

 

Chapter4. 강산무진
2. 강산무진_92.5X1600cm_캔버스에 유채_2013~2014(half1)(저).jpg

 조선 후기의 화가 이인문(1745~1824이후)은 그의 대표작인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를 통하여 역동적이고 웅장한 자연의 모습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그리며 인간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지는 세계를 그려내었다. 이것은 위대한 자연과 평화로운 인간의 모습이자 동시에 위대한 인간과 평화로운 자연의 모습이다.

 넓은 땅이 있으면 집을 짓고, 길을 만들고 공장을 세우고, 이것들이 모여 도시가 된다. 도시는 모여서 국가가 되었고, 이 끊임없는 순환을 통해 세계가 만들어지고 이것은 거꾸로 우리의 일상적인 모습이 된다. 대한민국은 6·25전쟁 이후 급격한 사회변화와 발전을 통해 빠르게 현대화의 길로 들어섰다. 6~70년대 새마을운동을 통해서 급속한 개발의 풍경을 지나며 우리는 더 편리하고 진보된 사회를, 세상을 만들어나갔다. 이제는 일상이 되어버린 개발의 패러다임 속에서, 나는 내가 스쳐왔던 과거의 풍경들은 해체되고 새로운 무언가로 끊임없이 대체되어가는 것을 보았다. 내가 존재했고 경험했던 공간들이 낯선 무언가로 바뀌면서 내 기억속의 세계는 현실에서 사라졌다. 그 세계는 내 머릿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되었으며, 과거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세계를 보는 나의 시선, 즉 나의 세계관은 지금의 현실 속에서 또 다른 무언가로 대체되어야 했다. 더불어 나는 그동안 가지고 있던 생각과 가치관, 관념들의 끊임없는 혼란 속에서 어른이 되어갔다.

 나는 세계란 인식이 구축시킨 사건과 현상들의 집합이며, 파편의 축적이라고 보았다. 삶 또한 끝없는 구축과 해체의 순환이다. 내가 진실이라 믿고 있는 모든 것들은 언젠가 부정당하고 해체되는 순간이 온다. 그러면 다시 무언가를 구축시키고, 그것이 진리이며 정답이라 믿고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한 사람의 세계는 구축된다.

 

 <강산무진>의 배경은 송도국제도시의 개발현장이다. 개발이라는 사건은 우리의 인식이 현실공간을 취향에 맞게 구축시키는 과정이며, 곧 인식에 의한 세계의 구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식이 만든, 마치 홀로그램과 같은 존재의 표면 위에서 ‘개발'이라고 명명된 세계의 구축과정을 역사라고 부른다. 일련의 과정을 통한 개발의 패러다임은 현실의 물질적 결핍을 자위시켜주고, 개발현장의 공간적 황폐함은 상대적인 삶의 윤택함을 반증시켜주는 장치가 된다. 이것은 하나의 판타지이다. 이렇게 인류는 ‘세계’를 발전시켜 왔으며, 앞으로도 발전시킬 것이다. 그리고 개발 이후에 올(것이라 상상하는) 편리를 획득하기 위해서, 미래의 행복을 꿈꾸며 지금의 삭막함을 자위한다. 곧 ‘개발현장’이란 유토피아적 판타지이며 ‘발전’이라는 꿈으로 불안한 미래를 담보하는 삭막한 현실의 표상이다.

 

 나는 개발현장을 세계의 구축과 해체가 동시에 진행되는 현실공간으로 보았다. 작품 속에서 현실의 풍경은 관념산수의 거대한 서사적 형식으로 전환되고 그 안에 가공된 세계의 파편들이 작위적으로 구축된다. 현실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관념적 판타지의 구축-이것은 어른들의 놀이이다. 실제 현장에서 보았던 흙더미들은 내 키를 넘지 않는 낮은 것들이었다. 이 공간에서 나는 전지적인 시점으로 대지를 바라보는 감각을 느꼈다. 마치 하늘 높은 곳에서 대지를 관조하는 신적인 존재, 그 위치에서 작위적으로 구축시킨 세계의 풍경, 그것의 끝없는 전개-이것은 내가 구축시킨 세계, 강산무진이다.

Chapter3.  낮과 밤
2015.07.03 김춘재 복사촬영5512c1000(홈피).jpg
scape-194x130.3 oil on canvas 2013.jpg
Chapter2. Will of Gaia -
도시 또는 컨베어벨트 위의 탈주
김노암(전시기획자)
heat island, 83x182cm, oil on canvas, 2011

1. 해체되는 삶

 

생의 기쁨을 전달하던 전도사가 병마의 고통에 스스로 목숨을 끊고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예술품을 제작하는 작가의 작품은 ‘죽음’이 재현된다. 죽음조차 상품으로 선용되는 시대에 그것이 무슨 대수겠는가. 자본주의사회에서 죽음은 교환가치이자 시장가치인 것이다. 이 새롭지 않은 인식이 근대를, 그리고 근대를 벗어나지 못한 현대의 예술가들을 괴롭히는 주제이다.

 

김춘재의 작업은 사회 비평적, 문명 비판적 사색에서 출발해 형이상학적 차원과 만난다. 그의 이미지들은 도시들이 배출하는 폐기물들처럼 뒤섞여 있다. 거기에 매스미디어들이 쏟아 놓은 사건과 사건들의 꼴라주가 구성되는데, 그 밑에는 일견 삶과 죽음, 문명과 도시의 현재적 삶의 딜레마가 깔려있다. 어느 작가인들 갈등과 딜레마 속에 있지 않겠는가. 작가는 보다 더 직접적인 태도로 취한다. 생명과 탄생에서 멀어져 죽음의 문명으로 나아가는 어떤 전조를 본다.

 

작가의 지난 작업이 삶과 마을이 사라진 그리하여 끊임없이 건물들로 확장하는 마치 거주기계이자 부동산기계들을 토해내듯 표현했다면, 이번 전시의 작품들은 일본의 쓰나미나 태국의 대홍수, 중국과 터키의 대지진 등 문명의 힘을 벗어나 저항할 수 없는 자연의 공포와 불안을 담고 있다. 도시와 자연은 더 이상 화합할 수 없이 비정상적으로 뒤틀리고 고통스럽다.

 

오래전 톨스토이는 인간의 삶이란 피할 수 없는 운명사와 느닷없이 닥쳐오는 사고사 사이에서 달콤한 대상에 사로 잡혀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김춘재의 작업은 도시적 삶의 풍요와 세련된 문화생활의 동경과 지향에 대한 일종의 거리두기요 비평적 태도에서 한발 더 나아가 강렬한 묵시론의 예감과 기박한 변화의 요구를 형상화한다. 물질적 풍요와 편의에 대한 강렬한 욕망의 다른 얼굴이 쑥 등장한다. 극히 소수의 계급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회피할 수 없는 구렁텅이에 떨어져 있다. 그것은 불편한 보고서이다.

 

김춘재의 작업은 당대 현실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반응이고 표현이다. 더 이상 그는 상투적 주제와 표현의 전통에 머물지 못한다. 동양적 사유의 전통과 서구적 문명과 사회비평의 태도가 합류한다. 작가 역시 조형적 효과보다는 겉으로 드러난 현상의 이면에 존재하는 숨은 의미나 사실을 표현하고자 몽타주나 소격효과를 지향한다. 마치 80년대 한국의 정치사회현실의 부도덕과 모순을 미학적으로 비판했던 신학철 선생이 꼴라주 형식을 적극 활용한 것처럼.

 

그의 이미지는 도시를 사는 삶을 마치 도시를 에워싸고 번성하는 무슨무슨 자원이라는 이름으로 영업하는 수많은 자원재활용센터나 폐기물처리장 위의 삶으로 재현한다. 산업사회 이후의 모든 사물은 상품이고 모든 상품은 생산되고 유통되자마자 중고물품이 되고 폐기물이 된다. 작가에 따르면 우리는 그런 사물과 상품의 운동, 그 컨베이어벨트 위의 거주자인 셈이다. 그 기저에는 한 주체가 형성되는 방식과 과정, 한 개인의 탄생, 존재의 의미, 그리고 욕망의 문제 이런 것들이 도시와 문명과 삶과 죽음의 문제를 가로지른다.

 

2. 어리석음과 현명함 사이에서

 

현대문명을 구조하는 근대성의 원리는 우리의 삶의 공간과 시간 속에 분명하게 내재해 있다. 게다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시는 근대성과 물질문명의 원리가 관통하는 현장이다. 메트릭스이자 자연이다. 사전적 의미의 자연은 TV속 자연은 살아있다거나 또는 이번 일본과 터키의 지진, 태국의 홍수 등의 거대한 사건이 벌어졌을 때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과 일상은 모두 도시에서 태어나고 성장하고 사라진다.

 

도시는 어쩌면 우리가 아는 유일한 삶의 공간일지도 모른다. 도시의 삶 또한 유일하며 가장 권위 있는 삶의 표준이라는 데 부인할 이는 없다. 세상의 모든 도시를 방문한다하더라도 결국은 성장과정에 도시의 전형이 되어버린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라며 학습한다. 도시에서 직장을 구하고 가정을 이루고 미래를 꿈꾸며, 예술과 문화와 여가를 채워나간다. 도시를 떠나서 인생을 논할 수 있을까? 그러나 도시는 이상적인 삶의 장소만은 아니다. 그렇지 않겠는가? 우리의 사정과 판단과 상관없이 이미 주어진 공간이고 구조이니 말이다. 그러나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인생의 출발이 도시임이 분명하지만 그 과정이나 결론 또한 도시적 이어야 하느냐 하면 또 그렇지가 않다.

 

산업혁명이후 현대문명은 어리석음의 극치로 과장할 수도 있다. 19세기 영국의 문인 조셉 콘래드는 런던을 통해 도시를 인간의 야만성을 축약하는 곳으로 보았다. 도시는 불결, 혼돈, 범죄, 가난, 음모, 폭력의 공장이다. 그는 이미 도시는 단지 도덕적 타락의 장소는 물론 세계적 차원에서 인간과 자원을 착취하는 근원으로 간주하였다.

 

콘래드와 동시대인인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는 “어리석음도 끝장까지 추구하면, 바보도 마침내 현명해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굳이 분명하게 증명된 어리석음을 반복할 이유도 시간도 없다. 어리석음의 문명을 끝까지 가볼 것은 아니다. 생태계는, 또 나의 운명의 시간은 기다려 주지 않는다. 더욱이 도시에 산다는 것, 문명을 산다는 것은 더더욱 그렇다.

 

이미 이러한 통찰은 수많은 예술가들과 사상가들, 그리고 평범한 익명의 사람들의 입과 행동을 통해서 확산되어 왔다. 김춘재의 시선 또한 그 노선을 따라 진행되니 모든 이미지는 문명의 카오스처럼 섞이고 혼재하며 충돌한다. 이미지들은 문명비판가들의 통찰을 담아, 이 분명한 사물과 상품의 삶으로만 이루어져 더 이상 사람이 사람다울 수 없는 부재의 상태, 죽음이 곧 도시를 사는 것이라고 말한다. 도시에서의 삶이란 죽음과 동치인 것이다. 작가는 이 한결같고 동일한 생사의 법칙을 벗어나는 단절과 선회의 길은 있는지 묻는다.

 

그러니 작가의 주제와 이미지들은 조형의 문제에서 출발하였으나 조형을 벗어나 사람이 살아가는 문제의 근원을 향한다. 생의 반성이나 사색이 곧 이미지들의 운동이 된다. 그리고 이미지들은 무한의 사물과 이미지들의 갈래를 거치면서 하나의 장소로 모여, 앞서 보아온 영혼의 황무지로서 도시와 도시적 삶의 길은 어디로 향하는지 묻고 있다.

Chapter1. 타인의 도시
inner turbulence, 162x112cm, oil on canvas, 2010

이야기1.

 

“나는 괜찮은데... 나 혼자서는 괜찮아요.

사실은 지금 32살에 결혼도 못하고, 남들이 보면 자리도 못잡고, 비정규직에..

그런데 사실 나는 괜찮거든요?

그런데 어디만 가면 친척들이 나이가 몇 살인데 너는 결혼안하느냐,

친구들은 번듯한 직장에 집도 사고 애도 낳고

그러면 거기서, 어라? 나는 그럼 뭐했지?

.

나는 굉장히 열심히 살았거든요.

나름대로 굉장히 열심히 살았는데..“

 

 이야기1.

 

“..돈 벌어서 뭐 하실래요?

무엇이, 얼마나 필요할 것 같으세요?

.

.

필요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많이 사게 되죠?

근데 살아보니까 몇 개 안쓰더라구요.

그 물건이라는 게 고리가 되고..

욕심은 자기가 어떻게 해야 되겠다 생각하는,

그 선인 것 같아요.“

 

어느 몽롱한 순간

 

 

 

여기가 어딘지도 모르겠고

 

왜 그곳에 있는지도 모르겠으며

 

무엇을 해야 할 지도 모르는

 

뿌연 안개 속에서 그저 멍하니

 

아무것도 듣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그 순간

 

이것이 꿈이라는 것을 지각하며

 

현실이

 

 

 

순간

 

 

 

 

나의 눈 앞으로 귓 속으로 홍수처럼 밀려들어와

 

오감을 어지럽히는

 

그 순간

 

 

 

 

하얀 바람

 

검은 빛

 

공기의 떨림

​한 발자국 걸음을 옮긴다

bottom of page